정보

[강아지 예방접종] 아기 강아지 예방접종 시기 / 성견이 된 이후 추가접종, 해야 하는 이유

도리누나두리 2025. 3. 6. 17:04

 

안녕하세요


오늘은 아기강아지 예방접종 시기, 성견이 된 후 접종,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려 해요!

강아지는 태어나서 생후 6주 이상부터 접종을 시작하게 되는대요

만약 오늘 분양을 받아 집으로 데리고 오셨다면
전염병 잠복기, 컨디션저하가 있을 수 있어
일주일 동안은 집에서 구토나 설사 증상이 있는지 지켜보시고
컨디션 조절 후 동물병원에 내원해 접종해 주시는 것을 권장
드립니다.

도리 신생아시절

접종 종류는 총 5가지 인대요

종합백신, 코로나 장염백신, 기관지염백신, 신종플루백신

입니다!

 

아기강아지 때는 한 번씩만 접종을 하면 좋겠지만 항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접종이 필요합니다!

대부분 6차까지 2주 간격으로 접종을 하게 되구요 1차부터 6차까지 어떤 접종을 하게 되는지 설명드릴게요

⬇️ ⬇️ ⬇️



1차 접종
(생후 6주 이상된 강아지)
종합백신 1차 + 코로나 장염백신 1차

2차 접종
종합백신 2차 + 코로나 장염백신 2차

3차 접종
종합백신 3차 + 기관지염백신 1차

4차 접종
종합백신 4차 + 기관지염백신 2차

5차 접종
종합백신 5차 + 신종플루백신 1차

6차 접종
광견병 + 신종플루백신 2차

 


이렇게 총 6차까지 진행하게 되고(병원마다 다를 수 있음)
추가로 항체가 생겼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면 피를 뽑아 항체가 검사를 진행하시면 됩니다!

비용은 병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
기본적으로 종합백신 20,000 ~ 25,000원
코로나, 기관지염, 광견병 20,000원
신종플루(인플루엔자) 20,000원
이라고 보시면 됩니다!


이렇게 아기강아지에서 성견이 되었다면
1년마다 추가접종 해주시는 걸 권장
드려요.

아기강아지 때 접종처럼 2주에 걸쳐 여러 차례 맞진 않고 한 번에 너무 많은 접종을 하게 되면 강아지에게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에 2개 2개 1개 , 2개 3개 이런 식으로 나눠서 접종을 진행한답니다!

보호자분의 선택사항인 부분이지만 강아지가 산책을 나가지 않는다고 해도 보호자분이 외출하고 들어오실 때 전염병균을 옮겨온다거나 산책을 할 때 다른 친구에게서 전염병이 옮거나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

소중한 가족이 전염병에 걸려 아프게 된다면 너무 슬픈 일이겠죠 ㅠㅠㅠ
도리도 매년 추가접종 진행하고 있답니다🌟

그 밖에도 요즘은 애견 놀이터, 유치원, 미용실 등등 반려견과 함께 즐기고 누릴 수 있는 환경이 많아졌는대요! 보호자분과 함께 이런 일상도 즐기고 누리려면 꼭 필요한 게 예방접종이 아닐까 싶습니다 😛


단 , 광견병은 선택사항이 아니고 3개월 이상 반려동물에겐 법적의무사항입니다!
(매년 상반기 하반기 동물등록이 된 친구들은 나라에서 광견병지원사업도 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!)



그 외 접종을 하지 않고 항체가검사로 항체가 있는지 확인 후 모자란 부분만 채워주는 방법도 있습니다! 하지만 검사비용이 접종비용과 비슷하거나 추가로 검사하시게 되면 더 큰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서 저는 개인적으로 비추입니다😛

여기까지 아기강아지, 성견이 되었을 때맞춰야 할 접종을 알아보았는대요
접종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소중한 내 새끼 아프기 전에 예방해 주시는 걸 권장드려요 😊


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🙇‍♀️